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mputer Science

(6)
[Network] OSI 참조모델 출처: https://ddooooki.tistory.com/17 [수다가 취미인 뚜기네]
[OS] System calls System calls은 operating system에 의해서 서비스가 사용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읽고 복사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면 첫번째로 input file, output file의 이름을 입력받아야 한다. 그리고 유저에게 파일의 이름을 물어보아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System calls이다. 이름입력창을 띄우고 키보드로 2개의 파일 이름을 입력 받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가지의 I/O system calls이 사용된다. 파일의 이름을 받았으면 input file을 열어야 하는데 만약 파일에 에러가 있거나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이 거부 된경우에 또 다른 System calls이 호출되고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것을 console에 출력해 준다. ..
[OS] System Structures Operatin-System Service Operation system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OS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user에게 특정한 service를 제공한다. User interface 대부분의 os시스템은 user interface(UI)가 존재한다. command-line interface(CLI) : text commands를 이용하여 명령을 하는 ui batch interface : 해당 명령을 제어하기위한 명령 및 지시문이 파일에 입력되고 해당 파일이 실행됩니다. graphical user interface(GUI) 인터페이스는 I/O를 관리하는 장치, 메뉴선택하는 장치, 문자를 입력하는 키보드 결정을 하는 등의 장치를 가리키는 윈도우 시스템이다. P..
캐쉬-1/2 웹 캐시는 자주 쓰이는 문서의 사본을 자동으로 보관하는 HTTP장치이다. 웹 요청이 캐시에 도착하였을 때 , 로컬 사본이 캐시에 존재한다면 캐시에서 바로 문서를 전송해 준다. 캐시의 장점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준다.(클라이언트들이 똑같은 문서를 반복해서 호출할 경우)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늘리지 않고도 페이지를 빠르게 불러올 수 있다. 원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여준다. 거리로 인한 지연을 줄여준다. 캐시의 작동 적중 부적중 적중 : 캐시에 요청이 도착했을때 대응하는 사본이 있다면 요청이 처리 된다. 부적중 : 사본이 없을때 원서버로 요청을 전달한다. 재검사 원 서버의 컨텐츠가 변경 되었을 경우 그를 캐시에서 확인하는 것이다.(신선도검사, HTTP재검사) 캐시 처리 단계 1. 요청받기 : 네트워크로 부..
프락시(Proxy)-2/2 프락시 서버 배치 프락시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배치할 수 있다. 1. 출구 프락시 로컬 네트워크와 더 큰 인터넷 사이의 트래픽 제어를 위해 로컬 네트워크 출구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방화벽 제공, 인터넷 트래픽 성능, 개선 콘텐츠 브라우징을 막기 위한 필터링 출구 프락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2. 접근(입구)프락시 ISP접근 지점에 위치시켜 고객으로부터 오는 모든 요청을 종합적으로 처리한다. 다운로드 속도 개선, 대역폭 비용 절감을 위해 캐시프락시를 사용(많이 찾는 문서 사본 저장) 3. 대리 프락시 네트워크의 가장 끝에 있는 웹 서버들의 바로앞에 위치하여 웹 서버로 향하는 모든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시 웹 서버에게 자원을 요청한다. 웹 서버 보안 기능 추가, 빠른 웹 서버 캐시를 느린 웹 서버 앞에 놓음으..
프락시(Proxy)-1/2 웹 프락시 서버는 중개자이다. 프락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그들 사이의 HTTP메세지를 정리하는 중개인 처럼 동작한다. 웹 프락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중개인 이다. 트랜잭션을 완료하는 것이 클라이언트라는 점은 변하지 않지만, 프락시 서버가 제공하는 좋은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HTTP프락시 서버는 웹 서버이기도 하고 웹 클라이언트이기도 하다. => 프락시는 HTTP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게 되므로 반드시 웹 서버처럼 요청(request)과 커넥션(Connection)을 적절히 다루고 응답(response)을 돌려주어야 한다. 동시에 => 프락시는 요청(request)을 서버로 보내기도 하므로 요청(request)을 보내고 응답(response)을 받는 올바른 ..

반응형